Steam 고객지원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설정
Half-Life 전용 서버는 어떻게 설정하나요?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계정 생성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를 실행하려면 우선 Steam을 설치해야 합니다. Steam 설치하기 페이지에서 'Steam 설치하기' 버튼을 클릭해 Steam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세요.

Steam 설치가 완료되면 전용 서버 실행을 위해 Steam 계정을 생성하세요. 이 계정은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 생성하는 Steam 계정과는 별개입니다. 일반 Steam 계정을 이용하여 전용 서버를 실행하려고 하면 같은 계정으로 인식되어 서버를 실행할 수 없습니다.

참고:

게임을 호스트하기 위해 서버 계정에 게임을 등록할 필요는 없습니다.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실행

(Counter-Strike 1.6, Day of Defeat, Team Fortress Classic, Deathmatch Classic, Ricochet, Half-Life, Condition Zero)



메뉴 옵션
  • 게임:
    • Counter-Strike
    • Team Fortress Classic
    • Day of Defeat
    • Deathmatch Classic
    • Ricochet
    • Half-Life
    • Condition Zero
  • 서버 이름: 서버의 이름입니다. 기본적으로 호스팅하는 게임의 이름이 표시됩니다.
  • 맵: 플레이하려고 선택한 맵입니다.
  • 네트워크: 인터넷 또는 LAN을 지정합니다. 다른 지역에 있는 플레이어가 호스팅하는 게임에 참여하기를 원하면 인터넷을 선택하세요.
  • 최대 플레이어 수: 서버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최대 인원수를 지정합니다. 지정 가능 범위는 1~32입니다.
  • UDP 포트: 서버에서 사용할 포트를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27015 입니다.
  • RCON 비밀번호: 서버에 대한 원격 접근 권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
  • 보안(Valve Anti-Cheat):
    • 선택함: VAC을 서버에서 사용합니다.
    • 선택하지 않음: VAC을 서버에서 사용하지 않습니다.

서버 옵션을 원하는 대로 조정한 다음 서버 실행 버튼을 누르세요.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주요 옵션



서버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 다음 값을 모두 변경할 수 있습니다. 값을 편집하려면 이름을 두 번 클릭하세요.
  • 서버 이름

  • 네트워크
  • RCON 비밀번호
  • 플레이어 비밀번호: 서버에서 플레이하기 위해 플레이어가 입력해야 할 비밀번호를 지정합니다. 해당 옵션은 친구와만 플레이하고 싶은 경우에 유용합니다.
  • 맵 순환: 플레이하고 싶은 맵과 그 순서를 지정합니다. 맵은 구성탭에서 설정한 맵 시간제한 또는 최대 승수에 따라 순환됩니다.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구성



구성 탭에서 서버 실행 방식을 지정하고 다양한 서버 규칙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
메뉴 설정
  • 시간제한: 각 맵의 시간제한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무제한입니다.
  • 승수 제한(라운드): 맵이 변경되기 전에 한 팀이 승리할 수 있는 횟수에 대한 제한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무제한입니다.
  • 라운드 제한(라운드): 각 맵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라운드 횟수에 대한 제한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무제한입니다.
  • 라운드 지속 시간(분): 각 라운드가 지속되는 시간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5분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시작 대기 시간(초): 라운드 시작 전 대기 시간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6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구매 시간(분): 구매 지역에서 구매가 가능한 시간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1분 30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초기 소유 금액: 각 팀에게 시작 시 주어지는 금액을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$800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발걸음: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의 발걸음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 여부를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활성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사망 시 카메라 종류: 플레이어가 죽은 후의 카메라 보기를 지정합니다.
    값:
    • 모두 보기: 플레이어는 게임 중인 다른 모든 플레이어를 볼 수 있습니다.
    • 아군만 보기: 플레이어는 게임 중인 같은 팀 플레이어만 볼 수 있습니다.
    • 1인칭 시점만: 플레이어는 죽은 곳에서 카메라를 움직여 다른 장소만 볼 수 있습니다.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를 따라다니거나 맵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습니다.
    • 기본 설정은 모두 보기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추적/사망 카메라 사용 안 함(검은 화면으로 전환): 사망 카메라가 검은 화면으로 전환됩니다. 기본 설정은 비활성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아군 사격: 플레이어는 같은 팀 플레이어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. 기본 설정은 비활성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다음 라운드에서 팀 킬러 사망 처리: 팀원을 죽인 플레이어를 다음 라운드에서 사망 처리할지 여부를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비활성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팀 킬러(팀 킬 3번) 및 비활동 플레이어 추방: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플레이어와 팀원을 3번 이상 죽인 플레이어가 서버에서 추방됩니다. 기본 설정은 활성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라운드 초반에 팀 킬을 한 플레이어 추방(초): 라운드 초반에 팀원을 죽인 플레이어를 서버에서 추방할 시간을 시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5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인질 사살자 추방(사살 허용, 0일 경우 사용 안 함): 서버에서 추방되기 전 까지 플레이어가 죽일 수 있는 인질의 수를 지정합니다. 기본 설정은 13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손전등 사용: 플레이어가 손전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기본 설정은 비활성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통계 보기

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는 다양한 통계 보기를 제공합니다. 가장 최근의 통계부터 분, 시간, 일 단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보기에 원하는 통계를 추가하려면, 대화 상자에서 오른쪽에 있는 확인란을 체크하세요.

세로축 항목을 바꾸면 이러한 통계에 대한 범위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.

표시 옵션
확인란
  • Players: 플레이어 인원수 통계 표시
  • Ping: 서버 핑 표시
  • In: 수신 핑 표시
  • Out: 전송 핑 표시
  • CPU: CPU 사용량 표시
  • FPS: 초당 프레임 수 표시

서버에서 플레이어 추방 및 차단



'플레이어' 탭은 현재 서버에 있는 모든 플레이어를 표시합니다. 이 탭에서는 플레이어를 보는 것 외에도 플레이어를 서버에서 추방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.

추방: 추방된 플레이어는 서버에서도 추방됩니다. 차단: 서버에서 플레이어를 임시로 차단하거나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. 수동으로 IP 주소를 입력하거나 플레이어의 Steam ID를 사용하여 서버에서 차단할 수 있습니다.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차단 관리



차단 탭은 귀사의 서버에 존재하는 차단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 여기에서 차단을 제거할 수도 있고 차단 시간을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.

추가: 추가 버튼을 통해 플레이어를 추가하려면 플레이어의 IP 주소 또는 SteamID가 필요합니다. 삭제: 차단을 해제하려면 원하는 플레이어를 선택한 다음 삭제 버튼을 클릭하세요. 편집: 플레이어의 차단 기간을 수정합니다. 불러오기: 차단 목록을 불러옵니다.(차단 목록을 다운로드했거나 다른 서버에서 차단 목록을 저장한 경우, 이 탭에 내 서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)

Steam Half-Life 전용 서버 콘솔



콘솔은 플레이어의 서버 입장 및 퇴장, 추방, 차단 등과 같이 서버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출력합니다.

또한, 다음과 같은 콘솔 명령어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
addip (분) (IP) : IP 주소를 바탕으로 플레이어를 분 단위로 지정된 시간 동안 차단합니다. '<분>'에 0을 입력하면 영구 차단이 적용됩니다.

banid (분) (SteamID) : SteamID를 바탕으로 플레이어를 분 단위로 지정된 시간 동안 차단합니다. '<분>'에 0을 입력하면 영구 차단이 적용됩니다.

banid (분) (SteamID) kick : SteamID를 바탕으로 플레이어를 분 단위로 지정된 시간 동안 서버에서 추방하고 차단합니다. '<분>'에 0을 입력하면 영구 차단이 적용됩니다.

changelevel (맵): 지정된 맵으로 서버를 변경합니다. 전체 맵 목록을 보려면 콘솔에 maps *를 입력하세요.

dropclient (UserID): UserID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를 추방합니다. 서버 내 전체 UserID 목록을 보려면 콘솔에 users를 입력하세요.

heartbeat: 마스터 서버에 heartbeat를 수동으로 전송합니다.

info (SteamID): SteamID를 바탕으로 요청된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표시합니다.

kick (Player or UserID) Kicks a user by Player name, or UserID. 서버 내 전체 UserID 목록을 보려면 콘솔에 users를 입력하세요.

listid: 서버의 차단 목록에 있는 모든 SteamID를 보여줍니다.

listip: 서버의 차단 목록에 있는 모든 IP 주소를 보여줍니다.

maps (이름의 일부): 이름의 일부를 공통으로 담고 있는 모든 맵 목록을 보여줍니다. 예를 들어, maps de_는 이름에 de_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맵을 보여줍니다.


도움이 필요하신가요?
Steam 지원 마법사를 사용하여 주제를 좁히고 필요한 도움을 받으세요.
커뮤니티 도움말
Steam 토론 게시판에 질문을 올리거나 관련된 답변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세요.